티스토리 뷰
해외에서 갑자기 아프거나 다쳤을 때, 어디에 연락해야 할지 막막하셨죠?
한국처럼 119를 누르면 바로 구급차가 오는 것도 아니고, 언어 장벽도 문제입니다.
그럴 때 ‘재외국민 119 응급의료상담서비스’를 알고 있다면 훨씬 안전하고 든든하게 대처할 수 있어요.
해외에서 갑자기 아프거나 다쳤을 때, 119처럼 도움받을 수 있는 ‘재외국민 응급의료상담서비스’ 이용법을 전화·카카오톡·이메일별로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이 글에서는 해외에서 한국 의사에게 24시간 실시간 상담받는 방법, 전화·카카오톡·이메일 이용법, 응급처치·약 복용·이송 방법까지 모두 안내해드립니다.
해외여행 중, 유학생, 장기 체류자 모두 꼭 알아두세요!
🆘 재외국민 119 응급의료상담서비스란?
소방청 중앙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운영하는 해외 응급상담 지원 서비스입니다.
대한민국 국적자라면 누구나 해외에서 24시간, 한국 응급의학 전문의로부터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공 서비스:
- 응급처치 요령 (예: 출혈, 열, 호흡곤란)
- 복용 약에 대한 설명
- 현지 병원이나 약국 이용 안내
- 응급상황 시 국내 이송 절차
현지 의료기관과 연결되는 건 아니지만, 정확한 대처법을 ‘한국어’로 안내받을 수 있어 유학생, 여행객, 교민에게 유용합니다.
📞 어떻게 이용하나요? – 연락 방법 3가지
1. 📱 전화 연결 (해외 발신)
- 번호: +82-44-320-0119
- 연중무휴 24시간 연결 가능
2. 💬 카카오톡 채널
- 채널명: `소방청 응급의료상담서비스`
- 방법: 카카오톡 검색 후 친구 추가 → 1:1 채팅
3. 📧 이메일 문의
- 주소: central119ems@korea.kr
📌 외교부 0404 안전여행 앱이나 [119안전포털]에서도 연동 가능
🌐 어떤 상황에서 쓸 수 있나요?
🤕 현지에서 다쳤는데 병원 가기 애매할 때
🤒 약을 샀는데 복용법이 불분명할 때
😷 아이 갑자기 열나거나 호흡곤란 증상 있을 때
🏥 응급 상황인데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를 때
✈️ 한국으로 이송해야 할지 상담이 필요할 때
단순한 건강상담이 아니라, 응급 중심의 실질적 대처 방법을 안내해줍니다.
👥 누가 이용할 수 있나요?
- 모든 대한민국 국민 (국적 기준)
- 유학생, 여행자, 장기 체류자, 원양 선원, 재외동포 등 포함
- 체류 형태나 체류 기간과 상관없이 무료로 이용 가능
✅ 로그인 없이 즉시 사용 가능, 정보 입력만으로 상담 연결
❓ 자주 묻는 질문 (FAQ)
Q. 현지 병원으로 직접 연결해 주나요?
A. 아닙니다. 병원 연결 기능은 없지만, 증상에 따라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 전문의가 알려줍니다.
Q. 외국에 오래 살고 있어도 이용 가능한가요?
A. 네. 국적이 대한민국이라면 누구나 사용 가능합니다.
Q. 의료 기록이 남거나 비용이 청구되나요?
A. 아닙니다. 개인정보 제공 없이 1회성 상담도 가능하며, 무료 서비스입니다.
Q. 카카오톡으로도 실시간 상담이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상담원 대기 시간에 따라 조금 지연될 수는 있으나, 24시간 연결됩니다.
✅ 해외에서도 119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상치 못한 응급상황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습니다.
해외에 있을 때일수록 정확한 응급 대처법과 의료상담은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 지금 카카오톡에 ‘소방청 응급의료상담서비스’를 저장해 두세요.
📞 필요할 땐, 24시간 연결되는 번호 +82-44-320-0119 기억하세요!
'정부 정책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가전 무료 수거 서비스, 돈 들이지 않고 처리하는 똑똑한 방법! (1) | 2025.04.30 |
---|---|
여권 우편배송 서비스 개선! 대리인 지정으로 더 편리하게 (2025년 5월 시행) (3) | 2025.04.22 |
당뇨병 전단계 영양관리 가이드, 식습관 개선으로 혈당 지키는 방법 (3) | 2025.04.18 |
2025년부터 바뀌는 저출산 대책 핵심 4가지, 이건 꼭 알아두세요! (2) | 2025.04.09 |
2025 매입임대주택 유형 총정리|청년·신혼부부 주거복지 핵심 가이드 (3) | 2025.04.06 |